유럽 라이프

위스키 제조 과정: 곡물에서 황금빛 술잔까지의 여정

myfairyjourney 2024. 11. 18. 03:46
반응형

이번에는 제가 좋아하는 위스키 제조 과정에 대해서 한번 설명 드릴게요.

 

위스키는 복잡하지만 매력적인 제조 과정을 거쳐 완성됩니다. 아래의 흐름도로 간단히 요약된 위스키의 여정을 먼저 살펴보세요!

 

곡물 선택맥아화(Malting)당화(Mashing)발효(Fermentation)증류(Distillation)숙성(Maturation)병입(Bottling)

 

이제, 각 단계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하나씩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곡물 선택 (Malting & Mashing)

곡물의 시작

위스키는 주로 보리, 옥수수, 호밀, 밀과 같은 곡물로 만들어지며, 이 선택은 위스키의 스타일과 맛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스코틀랜드의 스카치 위스키는 보리를 주로 사용하고, 미국의 버번 위스키는 옥수수가 51% 이상 포함되어야 합니다.

TIP: 특정 곡물은 위스키의 바디감이나 풍미를 결정합니다. 예를 들어, 호밀은 매콤한 맛을 더하고, 옥수수는 달콤한 맛을 부여합니다.


2. 맥아화 (Malting)

보리는 물에 담가 발아시킨 후 건조시키는 과정을 거칩니다. 이 과정에서 전분이 효모가 먹을 수 있는 당으로 변환됩니다. 건조 과정에서 피트(이탄)을 사용하면 스모키한 향이 더해지는데, 이는 스코틀랜드 일부 지역에서 만들어지는 위스키의 독특한 풍미로 이어집니다.

TIP: 피트 사용 여부는 지역에 따라 다릅니다. 예를 들어, 아일라(Islay) 지역의 위스키는 강한 스모키 향으로 유명합니다.


3. 당화 및 발효 (Mashing & Fermentation)

당화 (Mashing)

말린 맥아를 분쇄한 후 따뜻한 물과 혼합하여 당화 과정을 진행합니다. 이 과정에서 당분이 포함된 액체, 즉 워트(Wort)가 만들어집니다. 워트는 위스키의 단맛과 질감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입니다.

TIP: 워트의 당도는 발효 과정에서 효모가 얼마나 활발히 작용할지를 좌우합니다.

발효 (Fermentation)

워트를 발효 탱크에 옮기고 효모를 첨가하면 당분이 알코올과 이산화탄소로 변환됩니다. 발효는 보통 48~72시간 지속되며, 이 단계에서 독특한 과일 향이나 곡물 향이 생성됩니다.

흥미로운 사실: 일부 증류소는 고유한 효모를 사용해 특정 맛 프로필을 유지하거나 새롭게 개발합니다.


4. 증류 (Distillation)

증류는 알코올 농도를 높이고 불순물을 제거하는 과정입니다. 구리로 만든 증류기를 사용하면 화학 반응을 통해 불순물이 제거되고 더욱 순수한 알코올이 만들어집니다.

포트 스틸 vs 컬럼 스틸

  • 포트 스틸: 전통적인 방식으로, 한 번에 적은 양만 증류되지만 풍부하고 복합적인 맛을 냅니다. 주로 스카치 위스키에서 사용됩니다.
  • 컬럼 스틸: 연속적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하며, 깔끔하고 부드러운 맛을 제공합니다. 미국 위스키에 자주 사용됩니다.

TIP: 스코틀랜드 위스키는 보통 두 번 증류되지만, 아일랜드 위스키는 세 번 증류해 더욱 부드러운 맛을 만듭니다.


5. 숙성 (Maturation)

오크통의 마법

증류된 원액은 오크통에 담겨 숙성됩니다. 오크통의 재질, 크기, 사용 여부(새 오크통 vs 재사용 오크통)는 위스키의 맛과 색상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버번 캐스크는 바닐라와 캐러멜 향을 더하고, 셰리 캐스크는 과일 향을 강화합니다.

TIP: 위스키는 숙성 중에 오크통을 통해 산소와 상호작용하며, 맛이 더욱 풍부해지고 복합적인 구조를 형성합니다.

숙성의 시간

위스키의 숙성 기간이 길수록 깊고 부드러운 풍미를 얻지만, 너무 길어지면 오크향이 지나치게 강해질 수도 있습니다.


6. 병입 및 완성 (Bottling)

숙성이 완료된 위스키는 여과 과정을 거쳐 병에 담깁니다. 일부 위스키는 캐스크 스트렝스(숙성된 그대로의 강도)로 병입되며, 물을 추가하지 않아 진한 맛을 제공합니다.

TIP: 병입 전 '콜드 필터링'을 통해 불순물을 제거하지만, 필터링 과정에서 일부 풍미가 사라질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위스키 제조과정을 살펴봤습니다. 이런 기본적인 내용을 숙지하고 실제 위스키 증류소에 가시면 훨씬 내용 이해가 잘 되실거에요!

 

오늘도 위스키 한잔 하고 싶네요 :)